정오신문 관리자 기자 | 충북 진천군에 추진 중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에 대한 중앙부처와 지자체, 관계기관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진천군은 의료․요양․돌봄 서비스를 통합해 지역 내에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이나 퇴원환자에게 맞춤형 방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도적 복지 모델을 구축했다.
의료․돌봄 등 각 분야 전문가가 협업해 대상자의 욕구에 맞는 통합서비스를 신속하게 연계 제공함으로써 장기요양 등급자 비율이 감소하고 요양 급여 예산 절감 등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농촌 지역의 열악한 의료 인프라 속에서도 지역 특성을 살려 퇴원 후 지역사회에서 계속 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우리동네 돌봄스테이션, 재택의료센터와 농촌지역 특성에 맞는 치유농업(생거진천 케어팜) 등 다양한 특화사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한 점이 다수 기관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에 올해는 지난 4월 지자체장 모임인 목민관클럽(회장 정원오 성동구청장) 소속 11개 지자체 70여 명의 지자체장과 공무원이 진천군을 방문하여 해당 사업 관련 정기포럼을 개최한 바 있다.
또 5월에는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회가 방문한 데 이어 같은 달 보건복지부와 출입기자단 20여명이 진천을 찾았다.
이 밖에도 매주 1회 이상 타 지자체와 관계기관에서 방문해 벤치마킹하고 있고, 기타 언론에서도 대한민국의 초고령 사회 진입에 따른 돌봄 문제의 해결을 위한 지자체의 우수사례로 진천군을 소개하고 있다.
이재철 군 주민복지과 주무관은 “진천군은 2020년부터 5년 연속 보건복지부로부터 우수 지자체로 선정됐고 내년부터 ‘돌봄통합지원법’이 전국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진천군 통합돌봄 사례’에 대한 벤치마킹과 언론취재가 계속될 것으로 본다”며 “생거진천형 복지 모델이 대한민국 복지 수준 향상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사업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