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오신문 관리자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가 지역축제를 탄소중립 실천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한 논의에 나섰다.
도와 전북탄소중립지원센터(전북연구원)는 8일 김제시청 대회의실에서 ‘제15차 전북 탄소중립 포럼’을 개최하고, 주민 참여형 자원순환형 축제 모델을 공유하며 지자체 간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전북 탄소중립 포럼’은 전북도의 환경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민·관 협력의 장이다. 특히 이번 포럼은 도청이 아닌 시군 단위인 김제에서 처음으로 개최돼, 탄소중립 실천 논의가 지역 현장으로 확산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친환경 축제를 통한 탄소중립 확산 전략’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도와 시군 관계자, 전북지방환경청, 포럼위원, 탄소중립지원센터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해 사례 발표와 토론을 통해 실효성 있는 정책 방안을 모색했다.
첫 번째 발표에서는 강해남 김제시 자원순환과장이 김제시 ‘새로보미축제’를 중심으로 한 자원순환형 축제 운영 사례를 소개하며, 다회용기 사용과 음식물 쓰레기 저감 등 실천 중심의 운영방안을 제시했다.
두 번째 발표자로 나선 이성중 전북지속가능발전협의회 부장은 분리배출 교육, 재활용 체험 프로그램, 지역 연계 캠페인 등의 사례를 소개하며 “자원순환형 축제는 지역 특성에 따라 확산 가능성이 크고, 주민 체감형 탄소중립 정책의 핵심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진 자유토론에서는 임성진 포럼 위원장(전주대 교수)의 사회로 시군 여건에 맞는 축제형 탄소중립 실천모델 개발과 행정 간 협업 필요성, 지속 가능한 정책 설계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한순옥 전북도 탄소중립정책과장은 “탄소중립은 행정만의 과제가 아닌, 주민과 지역사회의 참여가 필수적인 과제”라며 “전북도는 시군과 협력해 지역축제를 주민 참여형 탄소중립 실천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북도는 이번 포럼에서 논의된 사례를 바탕으로, 각 시군 축제에 맞춤형 탄소중립 실천 모델을 접목하고 후속 지원도 확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