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오신문 관리자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는 최근 국토교통부 주관 스마트도시 공모사업에 잇따라 선정되며, 데이터 기반의 도시 혁신을 통한 스마트도시 조성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초 무주군, 순창군이 선정되어 연말 준공을 앞두고 있는 스마트 도시안전망은 범죄, 화재 등 각종 긴급상황 발생 시 경찰·소방 등 유관기관에 CCTV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범죄 예방 및 재난 대응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전북자치도를 중심으로 도내 모든 시군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 각 시군의 다양한 도시 데이터를 광역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에 수집하고, 수집된 다른 시군 데이터를 상호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망 기반이 마련된다.
또한, 군산시는 2025년 스마트도시 솔루션 확산사업에 선정돼 총 24억 원(국비 12억, 지방비 12억)의 예산을 투입, 2026년까지 스마트 횡단보도, 실시간 신호제어·신호개방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교통혼잡 해소와 보행자 안전 강화를 목표로 시민 체감형 서비스를 집중 구축한다. 이를 통해 삶의 질 향상과 정주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다.
특히 전문가 사전컨설팅과 국토부 장관 공모사업 선정 건의 등 도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지난 6월 19일 2025년 거점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에 전국 유일하게 선정된 전주시는 2027년까지 3년간 총 324억원(국비 160억, 지방비 160억, 민간 4억) 규모의 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사업에서는 찾아가는 생활SOC, 초개인화 AI 헬스케어, AI 기반 도시안전 등 12개 스마트서비스를 본격적으로 도입할 계획으로 8월 중 국토부 사업계획 승인을 득한 후 내년 초까지 실시설계를 마치고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전북자치도는 이번 공모 선정 성과를 기반으로, 전주를 스마트도시 거점으로 삼아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실증하고 우수사례를 도내 전역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김형우 건설교통국장은 “올해 선정된 공모사업들은 전북자치도가 데이터와 AI 기술 기반의 도시로 도약하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앞으로도 도내 시군이 지역 특성과 수요에 맞는 스마트도시 모델을 구축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